🚀 외장 SSD 속도, 왜 중요할까?
외장 SSD는 단순히 보조 저장장치가 아니라, 업무 효율과 데이터 처리 속도에 큰 영향을 주는 핵심 도구예요. 특히 2025년 현재, 4K 영상 편집이나 고용량 파일 이동 같은 작업에서는 HDD보다 SSD의 빠른 속도가 필수죠.
기본적으로 SSD는 랜덤 액세스와 연속적인 읽기/쓰기 성능에서 HDD를 압도해요. 하지만 같은 SSD라 해도 연결 방식(USB 3.2, Thunderbolt 등)이나 컨트롤러, DRAM 탑재 여부 등에 따라 속도 차이가 크답니다.
예를 들어, USB 3.0 외장 SSD는 보통 초당 400MB 수준의 전송속도를 보이지만, NVMe 기반 USB 3.2 Gen 2x2나 Thunderbolt 3는 최대 2,000MB/s 이상도 가능해요. 이 차이는 영상 편집 시 인코딩 시간, 게임 로딩 속도 등에서 체감되죠.
또한 외장 SSD는 발열과 내구성 문제도 동반되기 때문에, 속도 측정은 단순히 벤치마크 수치를 확인하는 걸 넘어 실사용 성능을 체크하는 지표로도 중요해요.
속도 측정을 통해 "내가 산 SSD가 제 성능을 내는지", 혹은 "USB 포트나 케이블이 병목현상을 일으키고 있진 않은지" 등을 판단할 수 있어요. 특히 노트북 사용자라면 썬더볼트 포트 연결 여부도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체크는 필수예요.
또한 외장 SSD는 백업용이나 부트 드라이브로도 활용되기 때문에, IO 응답 시간이나 쓰기 지연 여부 같은 디테일한 수치들도 중요해요. 단순히 "읽기 속도 몇 MB/s"가 전부는 아니라는 뜻이죠.
이런 이유로 외장 SSD를 새로 구매했거나, 기존 제품의 상태를 점검하고 싶다면, 속도 측정은 가장 기본적인 확인 단계랍니다. 특히 고성능 장비일수록 속도 체크를 통해 병목을 미리 잡는 게 좋아요.
결국 속도 측정은 단순한 숫자 놀음이 아닌, 실질적인 작업 효율을 위한 전략이에요. 다음 문단부터는 구체적인 측정 프로그램들을 소개할게요. 어떤 툴이 가장 적합한지도 함께 알려드릴게요! ⚙️
📊 SSD 연결 방식별 속도 비교표
연결 방식 | 이론 속도 (MB/s) | 실사용 평균 |
---|---|---|
USB 3.0 | 625 MB/s | 300~400 MB/s |
USB 3.2 Gen 2 | 1250 MB/s | 800~1000 MB/s |
USB 3.2 Gen 2x2 | 2500 MB/s | 1700~2000 MB/s |
Thunderbolt 3 | 5000 MB/s | 2300~2800 MB/s |
속도는 SSD 스펙만으로 판단할 수 없고, 연결 방식까지 꼼꼼하게 따져봐야 해요. 🧩
💻 CrystalDiskMark로 측정하기
CrystalDiskMark는 외장 SSD 속도 측정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무료 벤치마크 도구 중 하나예요. 인터페이스가 단순해서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속도 결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요.
이 프로그램은 연속 읽기/쓰기와 랜덤 읽기/쓰기 속도를 각각 측정해 주기 때문에, 실제 사용 상황을 반영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죠. 특히 1GiB, 4GiB, 16GiB 등 다양한 테스트 파일 크기를 선택할 수 있어서 유연해요.
테스트는 주로 'Seq1M Q8T1', '4KiB Q32T1' 등으로 진행되는데요, 이 숫자와 알파벳은 큐깊이(QD)와 스레드(T)를 뜻해요. 쉽게 말하면 ‘동시작업’의 수를 의미하는 거예요. SSD가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지 보는 지표예요.
CrystalDiskMark는 NVMe SSD, SATA SSD, 외장 USB SSD 모두 지원해요. 무엇보다 설치 버전과 포터블 버전 둘 다 제공돼서 별도 설치 없이 바로 실행도 가능해요. 테스트 종료 후 결과를 이미지로 저장하는 기능도 있어서 공유나 비교도 쉽죠.
예를 들어, 내 외장 SSD가 "Seq1M Q8T1 읽기 900MB/s, 쓰기 850MB/s"가 나왔다면 꽤 빠른 속도라고 볼 수 있어요. USB 3.2 Gen2 포트를 제대로 활용하고 있는 거죠. 반대로 200MB/s 정도면 병목 현상이 있는 거예요. 케이블이나 포트 문제일 수 있어요.
CrystalDiskMark는 속도뿐 아니라, SSD 상태의 전반적인 퍼포먼스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예요. 특히 외장 SSD 성능이 떨어졌다고 느껴질 때, 점검용으로 자주 쓰이면 좋아요. 그리고 한 가지 팁! 테스트 전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게 더 정확한 결과를 줘요.
가끔 "왜 내 SSD 속도가 스펙보다 낮을까?" 궁금할 때 있잖아요. 그럴 때 CrystalDiskMark로 측정해보면 바로 확인 가능해요. 속도는 장치 외에도 운영체제, 드라이버, 전원 설정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거든요.
이 툴 하나면 누구나 몇 번의 클릭만으로 SSD 속도를 쉽게 알 수 있으니, 반드시 사용해보길 추천해요. 아래 표로 항목 설명을 정리해봤어요! 📋
🧮 CrystalDiskMark 항목 해석표
항목 | 설명 |
---|---|
Seq1M Q8T1 | 1MiB 단위 순차 읽기/쓰기 (8큐, 1스레드) |
Seq1M Q1T1 | 1MiB 순차 (1큐, 1스레드) - 일반 사용 반영 |
4KiB Q32T1 | 작은 파일 랜덤 읽기/쓰기 성능 (고부하) |
4KiB Q1T1 | 일반 파일 I/O 상황에 가까운 테스트 |
CrystalDiskMark의 결과를 잘 해석하면 SSD 성능뿐 아니라 시스템 상태도 파악할 수 있어요! 🧐
🎬 맥 사용자라면 Blackmagic Disk Speed Test!
맥(Mac)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외장 SSD 속도 측정 툴로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바로 Blackmagic Disk Speed Test예요. 영상 편집 툴로 유명한 DaVinci Resolve를 만든 Blackmagic Design에서 만든 유틸리티로, 특히 영상 작업자들에게 필수예요. 🎥
Blackmagic Disk Speed Test는 macOS 전용 벤치마크 도구로, App Store에서 무료로 쉽게 설치할 수 있어요. UI는 깔끔하고 직관적이라, 누구나 버튼 하나만 누르면 SSD 속도 측정을 바로 시작할 수 있어요. 별도의 설정 없이 클릭 한 번이면 OK!
이 툴은 단순한 읽기/쓰기 속도 외에도 어떤 포맷의 영상까지 무리 없이 저장하고 편집할 수 있는지까지 시각적으로 보여줘요. 예를 들어 “ProRes 422 HQ 1080p60”까지 문제없이 처리 가능한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죠.
이런 식으로 SSD가 4K 영상 편집에 적합한지, 혹은 FHD 정도만 가능한지 빠르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맥북으로 영상작업하는 사람이라면 꼭 써봐야 해요. 성능에 따라 어떤 코덱까지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는지도 자동으로 분석해줘요.
Blackmagic Disk Speed Test는 테스트 데이터를 실제 저장소에 계속 쓰기 때문에, 가능하면 빈 외장 SSD나 충분한 여유 공간이 있는 드라이브로 테스트하는 게 좋아요. 그리고 SSD의 발열 상태나 성능 저하까지 체크할 수 있는 점도 장점이에요.
측정이 끝나면 좌측은 쓰기 속도, 우측은 읽기 속도가 게이지 형식으로 표시돼요. 수치도 보이지만 색상 변화와 게이지 그래프가 동시에 나타나 직관적으로 보기 좋답니다. 특히 'How Fast' 영역은 영상 코덱별 실시간 기록 가능 여부를 알려줘요. 🧩
이 도구는 단순한 속도 측정 도구를 넘어서, 맥에서의 외장 SSD 성능을 전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능까지 포함돼 있어서 개인 사용자뿐 아니라 영상 전문가들도 많이 사용해요.
영상 편집과 SSD 성능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만큼, Blackmagic Disk Speed Test는 영상작업자에게 거의 필수 유틸이에요. 아래 표에서 어떤 영상 포맷까지 SSD가 지원되는지에 대한 예시를 확인해봐요! 🎞️
🎥 영상 코덱별 SSD 성능 요구 비교표
영상 포맷 | 권장 SSD 쓰기 속도 | 사용 가능 여부 |
---|---|---|
ProRes 422 HQ 1080p | ~120 MB/s | 대부분 SSD 사용 가능 |
ProRes 422 4K | ~400 MB/s | 고성능 SSD 필요 |
Blackmagic RAW 6K | ~900 MB/s | Thunderbolt SSD 권장 |
영상 코덱별로 요구되는 쓰기 속도가 달라서, 작업 전 반드시 체크해보는 게 좋아요! 🎞️
📊 ATTO Disk Benchmark 특징은?
ATTO Disk Benchmark는 외장 SSD, 특히 고성능 저장장치의 I/O 성능을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툴이에요. 기업에서도 종종 사용하는 만큼 신뢰도가 높은 테스트 도구로, Windows에서 주로 활용돼요.
ATTO는 다양한 크기의 블록 사이즈로 읽기/쓰기 테스트를 진행해서, SSD가 어느 구간에서 병목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512B부터 최대 64MB까지 범위를 지정해 테스트할 수 있죠. 덕분에 작은 파일부터 큰 파일까지 성능 분포를 전부 알 수 있어요.
이 도구의 가장 큰 장점은 “연속성 테스트” 기능이에요. 단 한 번만 측정하는 게 아니라, 주어진 블록 사이즈 범위 내에서 반복적으로 읽기/쓰기 성능을 측정하면서, SSD의 성능 안정성을 보여주죠. 특히 캐시 구간과 비캐시 구간의 속도 차이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요.
UI는 다소 기술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Start' 버튼만 누르면 자동으로 그래프를 출력해줘서 초보자도 어렵지 않아요. 테스트가 끝나면 각 블록 사이즈마다 읽기/쓰기 속도를 막대 그래프로 시각화해줘서 비교하기 편리하답니다.
예를 들어, 어떤 SSD는 4KB 쓰기 속도는 낮지만 1MB 이상에서는 갑자기 속도가 높아지는 경우가 있어요. 이건 컨트롤러나 캐시 정책 때문일 수 있는데, ATTO를 쓰면 이런 성능 곡선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요.
ATTO는 단순히 숫자 하나로 SSD를 평가하지 않아요. 다양한 파일 크기별 성능을 확인할 수 있어서, “작은 파일만 자주 쓰는 작업”인지 “대용량 미디어 편집”인지에 따라 SSD가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큰 도움이 돼요.
또한 이 툴은 Queue Depth 설정도 가능해서, 멀티태스킹 환경에서의 성능을 간접적으로 예측할 수도 있어요. 특히 외장 SSD를 RAID나 NAS처럼 활용할 경우, 이 기능이 큰 장점으로 작용해요.
이처럼 ATTO Disk Benchmark는 SSD의 모든 성능 구간을 빠짐없이 확인할 수 있는 진짜 전문가용 도구예요. 물론 일반 사용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니, 한번 설치해보는 걸 추천할게요! 아래 표를 통해 핵심 기능을 간단히 정리했어요. ✅
🧪 ATTO Disk Benchmark 기능 요약표
기능 | 설명 |
---|---|
블록 사이즈 설정 | 512B ~ 64MB까지 자유 선택 가능 |
Queue Depth 조절 | 동시 처리량 테스트 가능 (QD1~QD10) |
막대 그래프 출력 | 읽기/쓰기 속도를 시각화하여 표시 |
테스트 반복 설정 | 지속적 테스트로 안정성 파악 가능 |
ATTO는 숫자보다 "성능 곡선"으로 SSD를 이해하게 해주는 고급 도구예요. 🔍
🧪 AS SSD Benchmark 분석력은?
AS SSD Benchmark는 SSD의 전반적인 성능을 정밀하게 측정해주는 도구로, 주로 윈도우 사용자들 사이에서 많이 활용돼요. 특히 랜덤 읽기/쓰기 성능을 중요하게 여기는 사용자라면 꼭 한번 써봐야 하는 툴이에요.
이 툴의 가장 큰 특징은 실제 사용자 환경을 모사한 테스트를 진행한다는 점이에요. 단순히 연속적인 읽기/쓰기 속도뿐만 아니라, 4K 랜덤 I/O, 응답 지연 시간, 멀티스레드 상황까지 고려해서 측정하죠. 이 때문에 속도뿐 아니라 SSD의 '체감 성능'을 알 수 있어요.
AS SSD는 다른 벤치마크 툴에 비해 읽기/쓰기 응답 시간을 밀리초 단위로 정확히 측정해줘요. 이 수치는 일반적인 웹 브라우징, 파일 탐색, 소프트웨어 실행 등 일상 작업에서 체감되는 속도와 직결돼요. 특히 OS를 SSD에 설치했을 때 효과를 미리 가늠할 수 있어요.
또한 이 툴은 점수 시스템을 적용해서 측정 결과를 종합 점수로 보여줘요. '읽기 점수', '쓰기 점수', 그리고 '총점'으로 나눠서 SSD 성능을 직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도와줘요. 점수가 높을수록 전반적인 퍼포먼스가 우수하다는 뜻이에요.
무설치 포터블 버전도 제공되기 때문에 번거로운 설치 과정 없이 실행할 수 있어요. AS SSD Benchmark는 기본 테스트 외에도 'Copy Benchmark', 'Compression Benchmark', 'iOPS 테스트' 기능도 있어서, SSD의 다양한 성격을 파악할 수 있어요.
Copy Benchmark는 프로그램 파일, ISO 이미지, 게임 파일 등 실제 작업 파일을 기준으로 복사 성능을 측정해요. 이 기능 덕분에 '벤치마크 점수는 높은데 왜 체감 속도는 느리지?'라는 의문을 해결해줄 수 있어요.
또 하나의 특이점은 Compression Benchmark인데요. 압축률이 다양한 데이터를 읽고 쓰며 SSD의 압축 처리 능력을 분석해줘요. 이는 SSD 컨트롤러의 성능과 펌웨어 최적화 여부까지 확인할 수 있는 고급 기능이에요.
결론적으로 AS SSD Benchmark는 수치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는 벤치마크 도구예요. 실사용 환경에서의 성능을 제대로 알고 싶다면 이만한 툴이 없다고 할 수 있어요. 아래 표를 통해 주요 기능을 다시 정리해볼게요! 📑
📐 AS SSD 주요 기능 정리표
기능 | 설명 |
---|---|
4K 랜덤 I/O | 작은 파일의 읽기/쓰기 성능 측정 |
응답 지연 시간(ms) | 지연 시간 확인으로 체감 속도 측정 |
Copy Benchmark | 실제 작업 파일 복사 시 속도 테스트 |
Compression Test | 데이터 압축 상황별 성능 분석 |
실제 쓰는 환경에서 속도와 반응 속도가 어떤지 알고 싶다면 AS SSD가 가장 정확해요! 🧠
⚙️ 실사용 속도 확인하는 방법
벤치마크 프로그램이 알려주는 수치는 중요하지만, 실제로 사용해보는 속도는 조금 다를 수 있어요. 실사용 속도는 여러분이 어떤 작업을 하느냐에 따라 체감이 확 달라질 수 있거든요.
가장 현실적인 측정 방법 중 하나는 대용량 파일을 직접 복사하면서 시간을 재보는 거예요. 예를 들어, 10GB짜리 영상 파일을 외장 SSD로 복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체크하면 평균 쓰기 속도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어요. ⏱
윈도우 탐색기나 맥의 Finder에서도 파일 복사 시 속도 그래프가 실시간으로 표시돼요. 전송 초기에는 캐시로 인해 빠르게 시작되지만, 5~10초 이후부터는 진짜 속도가 드러나니 그 부분을 중심으로 관찰하는 게 좋아요.
또한 여러 개의 작은 파일을 복사해보면 SSD의 4K 랜덤 성능이 얼마나 중요한지 느낄 수 있어요. 대용량 하나보다 수천 개 작은 파일을 복사할 때 SSD 성능이 급격히 차이 나는 경우가 많아요. 일반 SATA SSD와 NVMe SSD는 이런 부분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여줘요.
복사 외에도 프로그램 설치나 실행 속도 테스트도 실사용 성능을 파악하는 데 좋아요. 예를 들어 대형 게임이나 Adobe 프로그램 설치 시간을 기록해보면, 쓰기 및 설치 처리 속도가 얼마나 빠른지 쉽게 파악할 수 있죠.
또 하나 추천하는 방법은 포터블 게임을 외장 SSD에 넣고 직접 실행해보는 거예요. 로딩 시간과 렉 여부를 보면 읽기 속도와 IO 응답시간의 차이를 체감할 수 있어요. NVMe 기반 SSD는 게임 로딩에서도 월등히 빠른 성능을 보여준답니다. 🎮
그리고 크롬 브라우저의 다운로드 속도 창을 활용해서 대용량 클라우드 파일을 SSD에 바로 저장할 때 속도를 확인해보는 것도 실전 테스트 중 하나예요. 단, 이 경우 네트워크 속도도 함께 영향을 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는 게 좋아요.
마지막으로, 윈도우 작업 관리자 → 성능 → 디스크 항목에서 현재 SSD가 얼마나 빠르게 데이터를 처리하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도 있어요. CPU, RAM, SSD가 서로 영향을 주는 구조이기 때문에, 전체 자원 상태도 함께 보는 게 좋아요.
벤치마크와 실사용 속도를 같이 비교하면, 단순 수치에 의존하지 않고 내가 쓰는 환경에 가장 적합한 SSD를 선택할 수 있어요. 아래에서 실사용 테스트에 적합한 상황을 정리했어요! ✅
📂 실사용 SSD 테스트 상황 정리표
테스트 방식 | 설명 |
---|---|
대용량 파일 복사 | 10GB 이상 파일 복사 시간 측정 |
다중 작은 파일 전송 | 수천 개 파일 복사 시 속도 변화 확인 |
게임/프로그램 실행 | 실제 프로그램 설치·실행 속도 확인 |
다운로드 저장 속도 | 웹에서 직접 SSD로 저장하며 속도 체크 |
SSD는 쓰기 캐시, 발열, 연결 포트까지 영향을 주니 여러 조건에서 직접 테스트해보는 게 가장 정확해요! 🧪
❓ FAQ
Q1. 외장 SSD 속도 측정은 얼마나 자주 해야 하나요?
A1. 새로 구매한 직후, 느려졌다고 느껴질 때, 또는 포맷 후에는 한 번씩 측정해보는 게 좋아요. 정기 점검 개념으로 분기별 1회 정도도 추천돼요.
Q2. USB 케이블이 SSD 속도에 영향을 주나요?
A2. 네, 엄청나게요! USB 3.2 Gen2용 SSD를 USB 2.0 케이블에 연결하면 속도가 최대 480Mbps로 제한돼요. 케이블과 포트는 항상 SSD 사양에 맞춰줘야 해요.
Q3. CrystalDiskMark 결과가 너무 낮게 나오는데 정상인가요?
A3. 백그라운드 앱이 많거나 전력 설정이 ‘절전’으로 되어 있으면 속도가 낮게 나올 수 있어요. 전원 설정을 '최고 성능'으로 바꾸고 다시 테스트해보세요.
Q4. 맥북에서는 어떤 속도 측정 프로그램이 좋아요?
A4. 맥북 사용자는 Blackmagic Disk Speed Test가 가장 직관적이고 정확해요. 영상 코덱별 적합성도 같이 알려주니까 영상 작업자에게 특히 유용하죠.
Q5. NVMe 외장 SSD도 벤치마크 가능한가요?
A5. 당연해요. 다만 NVMe SSD는 발열이 높아 장시간 테스트 시 쓰로틀링이 생길 수 있으니, 온도 확인하면서 측정하는 걸 추천해요.
Q6. 속도 측정 시 SSD 수명에 영향이 있나요?
A6. 일반적인 측정은 수명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아요. 하지만 반복 테스트를 자주 하면 총 쓰기 용량(TBW)에 누적되니, 자주 반복하는 건 피하는 게 좋아요.
Q7. 실사용 속도가 벤치마크보다 느리게 느껴지는 이유는요?
A7. 복사 대상 파일의 종류(작은 파일 위주 등), SSD의 캐시 범위 초과, 연결된 다른 USB 기기 간섭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어요. 포트도 변경해서 테스트해보세요.
Q8. 지금 당장 측정해보고 싶은데 어떤 프로그램이 가장 쉬워요?
A8. 윈도우에서는 CrystalDiskMark, 맥에서는 Blackmagic Disk Speed Test가 가장 간편해요. 설치 없이 바로 실행할 수 있는 포터블 버전도 있어요!